이런 게 대법관이죠
본문
관련자료
댓글 14
CleanClear님의 댓글
1905년 을사5적(이완용, 박제순, 이지용, 이근택, 권중현)은 모두 판사 또는 재판장 출신입니다.
이완용: 전라북도·평안남도 재판소 판사
박제순: 평리원 재판장 서리
이지용: 평리원 재판장, 법부대신
이근택: 평리원 재판장
권중현: 평리원 재판장 서리
겁나 전통을 잘 따르는 대법원
2005년 을사10적들 ...
실제로 비목어님 말씀 처럼
기원전 페르시아에서는 판사가 뇌물을 받고 잘못된 판결을 하자, 산채로 판사의 피부 가죽을 벗기는 형벌을 내렸지요.
그런 인류의 전통은 살리는 게 좋지요.
아 그리고, 산 채로 살가죽이 모두 벗겨 진 후엔 참수형에 처했습니다.
이완용: 전라북도·평안남도 재판소 판사
박제순: 평리원 재판장 서리
이지용: 평리원 재판장, 법부대신
이근택: 평리원 재판장
권중현: 평리원 재판장 서리
겁나 전통을 잘 따르는 대법원
2005년 을사10적들 ...
실제로 비목어님 말씀 처럼
기원전 페르시아에서는 판사가 뇌물을 받고 잘못된 판결을 하자, 산채로 판사의 피부 가죽을 벗기는 형벌을 내렸지요.
그런 인류의 전통은 살리는 게 좋지요.
아 그리고, 산 채로 살가죽이 모두 벗겨 진 후엔 참수형에 처했습니다.
michael007님의 댓글
부패판사의 잘못된 판결에 산채로 그 가죽을 벗겨, 의자를 만들고 그 의자 위에서 그자의 아들에게 옳은 판결을 하라고 한 훌륭한 외국의 역사를 배워야합니다. 비록 가죽은 벗기진 않더라도, 상응한 처벌로 역사와 사회의 본보기를 만들어가야 합니다. 그래야 판검사도 변합니다. 지귀연 조희대와 난쟁이 10인같이 부정한 짓을 저지르고 불공평한 판사는 그 효시(시작이면서, 본보기)가 되어야합니다. 되게 만들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