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배드림 베스트글 저장소
× 확대 이미지

정말 심각한 한국 유통구조....ㄷㄷ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본문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33

왕중양님의 댓글

빵 과일 야채 등 도독놈들 잡아들여야함
 빵은 그회사 맞아요. 에스피..

신세계로님의 댓글

하루 이틀일까요. 저런 구조가
 당연히 소비자는 더한가격으로 사는그런 구조 이건 바껴야 될소지가 다분합니다.
 농협은 뭐하고 있을까요.

36기통꾸기님의 댓글

진짜
 열통터지긴 할것같음.
 
 뼈빠지게 농사짓고
 허망한 가격에 후려치면.

슬램덩코님의 댓글

유통구조 진짜 손봐야되
 
 아무것도 생산적 활동을 안하는새끼들이
 
 중간에 돈을 너무쳐먹어 최종소비자가 만
 
 쥴리 비싸게 오르지

주영승아빠님의 댓글

그런데 농민들 판로찾는게 너무 힘듭니다. 유통구조가 진짜 개같아서 대대적으로 손볼필요가 있죠

캐돌이님의 댓글

배민을 없애야 하듯이...
 
 농가를 살리려면...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거래하는 시스템을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

태평동킬러님의 댓글

직거래도 비싸게 내놓은 업체가 있음ㅋㅋ
 전반적으로 문제가 많음

지이이인님의 댓글

농가 뿐안 아니라 수입업체도 문제임
 한예로 그래픽카드가 싯가로 팔리리거나 용산프리미엄이 붙어버림
 MSRP가 잇는데 관세에 얼마정도에 예측이 번한데도 이상한 가격으로 형성됨..
 특히 고가 그래픽카드는 AI전용 카드 못하는 중소기업에게는 대체품인데 어이없는 품귀현상과 되팔이들 심지어 미국제제대상이라 중국에 판매금지인데 웃돈받고판 유통업자들 진짜. 하...

달밤의꿈님의 댓글

베스트 올라가면 이재명 대통령 께서 보십니다! ㅎㅎ 준식이엑 펨코가 있다면 대통령 뒤엔 보배가 있죠!!
 
 근데 김보배가 이찍이라 그게 문젠데.. 암튼 화이팅!!
 
 저 공판장 다 건설사 소유고 과거 정부 소유 였는데 민영화 시켜 버림!!
 
 징글징글한 도둑 놈들

자갈밭님의 댓글

저도 전역후 농사할때 저분 같은 경우 있었네요.  운임도 안나와서 내돈으로 보태서 해주고 밤새 술 먹고 다음날 귀가해서 바로 농사 때려치고 도시로 와서 목수일 배웠죠 ㅠ ㅠ

2찍문파찐명동급님의 댓글

우리나라에서 가장 민생에 밀접해 있으면서 혁파해야할 구조  유통과 하청.....
 유통은 단계가 쌓일수록 단가가  올라가고 하청은  단계가 쌓일수록 단가가 내려간다...
 씨부레......

시야아빠님의 댓글

팔구십년대쯤에 다단계적인 유통 구조 손 본다고 하고 개혁을 하였는데 그 구조에서 이상하게 변하여 농민과 소비자들은 이익이 없고 중간에 대규모 중개상만 수익을 해먹는 구조가 되었네요.

우하준님의 댓글

8키로 한박스 500원.. 음..  생산물량이 많아서 출하량이 소비량보다 증가하면.. 물건을 사야하는 중도매인의 경우 버리는경우도 많아 저렇게 나와요.. 
 
 구조를 좀 바꾸기도 해야하지만.. 물량이 조금씩만 몇달만 모자르면 엄청 고가에 경락됨.
 
 공급과 수요 맞추기가 사실상 불가능함. 변수가 너무 많기에..
 
 8키로 500원 나온날.. 전날 경락받은 물건 고스란히 남은 사람들은.. 손해보고 팔아야 하는것도 잇음.. 과거 전직이라.. ㅎㅎ

alcaphon님의 댓글

기존 청과물도매시장이
 몇몇 도매상,농협만 배불리는 구조에요

워메비엠따블님의 댓글

저렇게 유통구조 만든 뒤에는 대기업 유통회사가 있고  그 대기업들이 지금 물가를 쥐락펴락하는중. 그래서 한국이 유독 다른 나라에 비해 과일값과 고기가 비싼이유다.

Bucs님의 댓글

예전에 저 관련된 이야기를 어디서 들은게
 오래전 정보가 발달하기전에는 농민입장에서 시세를 알기 어려우니 그당시에는 저 공판장이라는 제도가
 대부분의 농민들에게 이익이 되는 제도가 맞았다고 하는데
 
 요즘처럼 정보도 발달하고 교통도 발달하고 한 시대에는 저게 안맞는다는 그런 의견도 있더군요

비키셈급해여님의 댓글

지자체에서 관하는 직거래 장터,마켓 설립하면 좋을듯
 그날그날 작물들 평균가격 고지하고
 그 가격보다는 조금만 낮춰서 팔아도 소비자도 좋고 생산자도 좋고
 지자체는 일 잘한다고 칭찬받아서 좋고
 모두가 윈윈

아웃사이당님의 댓글

옛날에는 더 심했죠. 중간상인이 장난질로 농민과 소비자 모두가 피해보는 현상이 엄청 많았죠. 그렇게 돈벌면 좋으냐 나중에 벌 받는다.

우하준님의 댓글

이거에 대해서 예전 전직으로 일하면서 느끼는건데.. 농민과 중도매인은 손해볼때가 많음. 장사하는 사람이 손해를 본다? 생물이라 썩혀 버리거나 대량의 물건을 경락받아 해치우기 위해 과도한 외상거래로 인한 부도 및 잠적하는 사람 상당히 많음. 거래처 탄탄해서 운영잘하면 돈을 벌지만 솔직히 가락시장빼고 다른 지방시장은 도매로 큰돈 벌기 어려움. 손해 안보면 다행인 곳이 대부분. 그래서 소매에 많이 의존함.
 
 문제는 중간상인(밭때기)과 경매법인들, 중간상인과 법인의 단합으로 과도한 경락유발, 일정금액 이하 경락시 법인의 수수료 받지 말아야 하는데 1원에 경락되도 수수료 받음.  그중에 컨트롤 타워는 법인. 수맣은 건설사가 현금낳는 캐쉬카우로 아무런 노력없이 수십억에서 수백억 수수료로 챙김. 
 
 중도매인들.. 돈벌려고 얼마나 발악하는지.. 와서 몇일만 일해보시면.. 손가락? 이야기 못해요..

바시드조합님의 댓글

농산물은 10%많으면 폭락 10%적으면 폭등입니다.
 유통문제 아닌데요
전체 38,004 / 1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
  • Today 5,703 명
웹서버 사용량: 37.09/150 GB
25%
스토리지 사용량: 61.60/98 GB
63%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