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배드림 베스트글 저장소
× 확대 이미지

이륜차 자동차전용도로 청원동의 **꼭 읽어보세요.!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본문

청원 링크

 

https://petitions.assembly.go.kr/proceed/registered/3A83D37250EA404EE064B49691C6967B

 

 

청원의 취지 1. 청원의 목적 대한민국은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모든 이륜차의 자동차 전용도로 통행을 전면 금지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도 라오스, 인도네시아, 베네수엘라, 태국, 파나마, 파키스탄 등 극소수의 국가들만이 이러한 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대로라면 대한민국 정책의 합리성에 대해 국제적 신뢰 저하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비과학적인 제도, 규제만 많고 실리는 없는 나라” 경제 / 문화적으로 선진국에 속하는 대한민국이 여전히 이러한 후진적 정책을 고수하는 것은 국제 기준과의 괴리를 보여주며, 국가 정책의 합리성과 국제적 신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더욱이 대한민국은 독일 아우토반, 미국의 고속도로와 견줄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고속도로 인프라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륜차만을 배제하는 현 제도는 납득할 만한 과학적·안전적 근거가 부족합니다. 실제로 미국 NHTSA(교통안전청) 통계에 따르면, 고속도로 전체 사고中 이륜차가 차지하는 비율은 2.3%에 불과하며, 치명사고 역시 8% 수준으로 승용차(65%), 대형트럭(15%)에 비해 현저히 낮습니다. 반대로 이륜차 사고의 대부분은 신호와 합류 / 횡단이 많은 도심 교차로(42%)에서 발생합니다. 즉, 이륜차를 고속도로에서 배제하는 것은 안전을 지킨다는 명분과 달리, 오히려 더 위험한 일반도로로 몰아넣어 사고 위험을 증가시키는 역설적 결과를 낳고 있습니다. 또한 이륜차는 자동차관리법상 자동차로 분류되어 자동차세 / 보험료 등 모든 의무를 이행하고 있음에도, 자동차 전용도로 이용권만은 철저히 제한받고 있습니다. 이는 공공 인프라 접근권 차원에서 형평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국민의 납세권·이동권과도 배치됩니다. 오늘날 이륜차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배달 / 물류 산업의 핵심, 개인의 통근 및 생활 교통수단, 레저와 관광 산업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전기 이륜차 보급 확대, 1~2인 가구 증가, 친환경 모빌리티 수요 증대 등 사회 / 경제적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현 제도는 여전히 30~40년 前의 안전 논리에 머물러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이륜차 전면 통행 금지’에서 ‘조건부 / 단계적 허용’으로의 전환을 요청 드립니다.
청원의 내용 ①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기준 마련 ② 시험과 검증을 통한 점진적 확대 ③ 교육·단속·시설 개선을 아우르는 안전 패키지 제도를 도입할 것을 제안합니다. 본 청원은 단순히 오토바이 운전자를 위한 요구가 아니라, 모든 시민의 안전, 교통 효율 / 형평성을 함께 높이는 합리적 정책 개선 요청임을 재차 설명 드립니다. 1) 형평성 문제 ㆍ이륜차는 자동차로 분류되어 세금 / 보험료를 모두 내지만, 자동차 전용도로 이용은 전면 금지中에 있으며 이는 공공 인프라 접근권에서의 불평등 문제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2) 안전의 문제에 대한 역설이 있습니다. 공도에서의 이륜차 사고를 포함 교통사고는 주로 신호 / 좌회전 / 횡단이 많은 일반도로에서 발생합니다. 반대로 자동차전용도로는 신호가 없고 흐름이 일정해 상대적으로 교통사고가 더 적고 안전한 측면이 있습니다. 즉, '위험해서 금지'라는 관점이 아니라 이륜차를 '더 안전한 도로로 유도하고 관리하기'가 사고예방 및 안전차원에서 더 효과적인 정책 방향이 될 것 입니다. 3) 사회 / 경제 변화 미반영 배달 / 소형물류, 1~2인 가구, 친환경 이동 수요가 늘었는데도 도로 운영은 여전히 승용차 중심에 머물러 있으며 이는 사회 / 경제적 변화를 정책 현장에서 수렴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국제적 기준과 동떨어진 정책 1) 일본 ㆍ125㏄ 초과 이륜차는 자동차 전용도로 통행 가능. 초보자 제한 / 속도 규정 등 안전규칙을 병행해 허용하고 있습니다. 2) 대만 ㆍ과거 전면 금지 → 250㏄ 이상 Expressway 허용, 550㏄ 이상 Freeway 일부 허용으로 점진적 확대中에 있습니다. 3) 말레이시아 ㆍ주요 도로에 이륜차 전용 차로 설치 → 사고율 30% 이상 감소 효과를 얻고 있습니다. 4) 영국 ㆍ자동차전용도로 통행 허용, 일부 도시는 버스전용차로 오토바이 공용을 허용中입니다. 5) 미국 ㆍ대부분 자동차 전용도로(고속도로 포함)에 이륜차 통행을 허가하고 있습니다. 6) 독일 등 유럽의 경우 ㆍ시속 60㎞ 이상 주행 가능한 이륜차는 고속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 통행 허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의 자동차 전용도로 이륜차 통행 허용에 해한 논의 현황 1) 헌법재판소 판례 ㆍ이륜차 통행 금지를 합헌으로 본 판례가 있었으나, 보충 의견에서 '조건부 허용 필요성'이 지적된 판례가 있습니다. 2) 국민청원 / 여론조사 ㆍ자동차 전용도로에 대한 이륜차 통행 시범 허용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中입니다. 3) 지자체 사례 ㆍ2025년 서울시, 양재대로 자동차전용 지정 해제 → 이륜차 통행 허용 사례가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자동차 전용도로 이륜차 통행 전면 금지 정책은 결론적으로 시민들의 안전을 지켜주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더 위험한 일반도로로 이륜차를 몰아넣어 사고 위험을 키웠습니다. 이제는 '금지'에서 '관리된 허용'으로 방향을 바꿔야 합니다. 작게 시작해 검증하고, 잘되면 확대하며, 문제 있으면 줄이는 방식이야말로 합리적이고 안전합니다. 이 개선은 오토바이 운전자만이 아니라 모든 시민의 안전 / 형평성 / 효율성을 확대를 위한 개선案 입니다. 시민 여러분과 라이더 여러분의 공감과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며, 여러분의 작은 동참이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점진적 개선은 건전한 교통문화를 확립하고,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며, 모두가 더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관련자료

댓글 35

매지프로님의 댓글

@오늘로또1등당첨자 
 받고 레이스~
 3번 위반 시 매각 말고 폐차하면 동의

파국이다님의 댓글

전면 번호판 장착
 현 도로교통과 관련된 카메라를 후면 번호판을 인식 할 수 있는 카메라로 변경
 
 이런것들이 먼저 시행되고 나서 생각할 문제인듯홥니다.

오늘로또1등당첨자님의 댓글

받고 레이스~
 안전장구 착용 &
 법규 위반시 전용도로에서 단속되면 가중처벌

못찾겠다개꼬리님의 댓글

오토바이 고속도로 진입이 되는걸 저는 반대입니다. 칼질사고로 내가 대신 죽을수 있다는  생각이 지배적 입니다.
 
 일반도로의 오토바이 안전운전 인식수준이 그대로라면 반대입니다.
 
 글쓴이 글을  읽어보면  대부분의 글은
 불공평하다 입니다.  이해가 부족한건 저  만의 생각일까요?

pandahoon님의 댓글

서부간선도로 오토바이들 진짜 개짜증남
 가뜨기나 공사다뭐다 차 막혀서 개짜증나는데 심장철렁철렁 칼치기 쌩쌩하구 이씨

LE블루님의 댓글

전면번호판 장작 + 후면번호판 번호좀 크게
 
 신고하려고하면 작아서 잘 안보여요~~

이왕배님의 댓글

"관리된 허용"에서 관리가 안 되는게 가장 큰 문제임

cotton803님의 댓글

전용도로내에서 바이크 사고 일 경우
 바이크 운전자 전치 8주이상부터 형사처벌로 하향 해야 됨

로그인후님의 댓글

일반적인 이륜차 운전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지 않는한 반대.
 인식 개선을 위해서 이륜차 운전자들이 더욱 노력을 해야될 것으로 생각됨.
 지금도 국도에서 하는 행태를 보면 노답인데 고속도로까지? ㄷㄷ

매지프로님의 댓글

비동의
 조금 지나면 통행료 낼테니, 자전거도 고속도로 타게 해달라 할 듯.

arielim님의 댓글

반대합니다 고속도로에서 오도바이 떼빙 보고싶지 않아요

2찍과38퍼는디지자님의 댓글

ㅋㅋㅋㅋㅋㅋㅋㅋ 밤마다 니들 바이크 소음공해에 몸쓰리가난다
 
 덤프에 깔려 죽어라 가다 미끄러져러 하고 빌고싶다
 
 개소리는 일기장에 써라

레디온님의 댓글

이륜차의 고속도로에서의 사고율이 낮더라도...
 사고나면 사망 확률은 엄청 높을거 같은데...

ssullist님의 댓글

앞뒤번호판달고 번호판 크기는 현재보다 50% 이상 키우면 될듯. 하루에도 십여건 이상의 오토바이 위반행위를 블박카메라가 오토바이 번호판을 식별하지 못해 신고를 못하고 있음.

춥그려님의 댓글

지난주  오토바이 한대  추월한다고 굉음을 내면서  차량 수대를  추월...그리고  자동차전용도로  들어와서 칼치기...그딴식으로 운전하면서??

블루닷파티칼님의 댓글

까고있네 지금도 요리조리 지랄 발광을 쳐하고 돌아 다니면서 신호위반 하고 째려보고 가고

이쁜늑대님의 댓글

저도 한때 바이크 탔지만...
 라이더 운행습관이 먼저 고쳐져야 설득력이 있을듯합니다.

고속도치님의 댓글

정상적인 1명 라이더이가
 비정상  라이더 99명을
 대표하지 못함
 우리나라는 아직 준비되지 못했죠

썩열이나라님의 댓글

자동차전용도로까지는 인정하겠는데.... (지방 교통문제)
 
 고속도로는 진짜 위험합니다
 저는 모닝타는데,  자동차도 화물차에 죽을뻔한적이 한두번이 아닙니다;;;;
 오토바이는 뼈도 못추려요
 
 한국인 민족성에도 문제가 많습니다
 난폭하고, 다혈질, 과속카메라만 피하면 괴물이됩니다 ,  오토바이, 자동차 운전자 둘다

델타호텔님의 댓글

내가 잘 운전해서 가다가 오토바이들 사고에 휘말려서 인생 망할게 겁나서 반대합니다.
 일부 안전 운전 잘 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대다수 오토바이 행태가 어떤가요?
 우리 집 뒷 국도만 해도 새벽시간에 오토바이들 때문에 환장하것습니다.

봄사랑벗고말고님의 댓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기준 마련???
 
 현재 도로에서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기준이 없어서 도로/인도 할거 없이 그러고 다니는건가요??
 
 노들로 처럼 자동차 전용도로였다가 해제된 도로에서 오토바이 어떻게하고 다니는지 보면 답 나올텐데요??
 
 차간주행, 동일차로 추월은 기본으로 하던데... 고속도로에서 누굴 억울한 가해자 만들려고...
 
 신호 지키고 있는 오토바이 하루에 두어대 볼까말까 하는데 뭔...
 
 오토바이들 맨 앞으로 달려나가서 파란불 들어올때 까지 기둘리면 그게 신호 지키는건가...???

LE블루님의 댓글

폭주족들의 놀이터를 위해서 청원을 이용하시면 안됩니다~
 
 이미 국도에서도 개 폭주중인데 고속도로까지 가면 300 넘긴거 인증한다고 지랄할꺼자나요~

눈떠보니마법사님의 댓글

바이크를 타고는 싶지만...음... 아직 시기상조 같습니다
 우선 오토바이와 자동차 면허취득 수준을 많이 올릴 필요도 있고 의식도 올려야합니다

애기홀릭님의 댓글

2바퀴 타는 것들은 자전거든 오토바이든 어찌나 이기적인지.
 타인의 불편으로 자신의 도락을 사려하지 마시오.
전체 58,351 / 1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
  • Today 2,844 명
웹서버 사용량: 35.92/150 GB
24%
스토리지 사용량: 106.48/295 GB
36%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