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차세대 하이브리드 라인업 발표
본문
i20급 소형차에도 적용 예정(1.0터보 or 1.6자연흡기?)
그외 중형 라인업에선 1.6터보 +2모터 하이브리드 적용
팰리세이드급 SUV (전륜형 2.5터보 하이브리드+AWD)
제네시스 G80급 프리미엄 모델
(후륜형 2.5터보 하이브리드 + AWD)
100마력대부터 300마력대 이상의
차세대 풀하이브리드 라인업 구축 예정
(전라인업 가격대 폭풍상승 예정...)
추후 AWD모델의 효율 개선을 위해
E-AWD기술도 개발 중이며 양산 적용할 예정이라고 함
2030년까지 그룹사 전반 EV 풀라인업 구축과 함께
차세대 하이브리드 풀라인업 구축도 병행할 계획
(+수소연료전지 라인업)
EV와 하이브리드(+수소연료전지 라인업) 풀라인업 구축 성공 시 전세계에 유일한 레거시 브랜드가 될 듯 함
계획대로 된다면 2030년 이후 현대차그룹이
전세계 자동차 시장 1위 점유율에 등극할 듯 하네요
관련자료
댓글 13
오우야조타조아님의 댓글
@Ddalgi05 도요타는 하이브리드 라인업 확충에 너무 올인해버려서 전기차 개발을 도외 시 하였죠
현대차는 기본 내연기관과 일부 하이브리드 모델을 기반으로 라인업을 확장하는 동시에
EV풀라인업 구축을 통해 도요타의 EV개발과는 다른 노선을 택했죠
그래서 EV시장이 주춤할 때는 지금처럼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빠르게 확장 구축하여 좀 더 유연하게 대응하는 중이고요
빠르면 1~2년 늦어도 2~3년 내로 하이브리드 풀라인업이 구축될 예정이라 시장 대응이 한층 수월해질 겁니다
아마 그 때쯤이면 순수 내연기관 모델은 단종될테고 하이브리드나 EV, 수소연료전지만을 판매하겠죠
하이브리드는 도요타에 이어 현대차그룹만이 풀라인업 구축에 성공할 듯 싶고
EV풀라인업과 SDV구축은 오직 테슬라와 현대차그룹만이 성공할 듯 한데
현대차만이 수소연료전지 풀라인업 구축에도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
미래 자동차 파워트레인을 유일하게 전부 풀라인업으로 구축하는 레거시 브랜드는 현대차그룹이 유일할 겁니다
이러한 비전들을 바탕으로 아마 2027~28년쯤 세계 2위로 올라설 듯 하고
2030년 이후에 1위를 하게 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앞으로 5년동안 현대차그룹에서 발표할 차량들의 수준과 다양함이 상상 이상일 듯 합니다
하이퍼카, 슈퍼카 같은 스포츠카 라인업부터
초호화 수제 럭셔리카, 기함급 풀사이즈 SUV, 컨버터블 쿠페 같은 럭셔리 라인업
한층 업그레이드된 대중차 및 고성능차 라인업
캠핑카, 캠핑 트레일러 레저용 라인업
트럭, 버스, 특장차 등 상용차 라인업 등
하이브리드부터 EV, 수소연료전지로
고효율과 고성능을 동시에 추구하면서
매우 다양한 고품질의 상품을 개발하게 된다면
10년 전만 하더라도 생각하기 어려웠던 그림을 진짜로 마주하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현대차는 기본 내연기관과 일부 하이브리드 모델을 기반으로 라인업을 확장하는 동시에
EV풀라인업 구축을 통해 도요타의 EV개발과는 다른 노선을 택했죠
그래서 EV시장이 주춤할 때는 지금처럼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빠르게 확장 구축하여 좀 더 유연하게 대응하는 중이고요
빠르면 1~2년 늦어도 2~3년 내로 하이브리드 풀라인업이 구축될 예정이라 시장 대응이 한층 수월해질 겁니다
아마 그 때쯤이면 순수 내연기관 모델은 단종될테고 하이브리드나 EV, 수소연료전지만을 판매하겠죠
하이브리드는 도요타에 이어 현대차그룹만이 풀라인업 구축에 성공할 듯 싶고
EV풀라인업과 SDV구축은 오직 테슬라와 현대차그룹만이 성공할 듯 한데
현대차만이 수소연료전지 풀라인업 구축에도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
미래 자동차 파워트레인을 유일하게 전부 풀라인업으로 구축하는 레거시 브랜드는 현대차그룹이 유일할 겁니다
이러한 비전들을 바탕으로 아마 2027~28년쯤 세계 2위로 올라설 듯 하고
2030년 이후에 1위를 하게 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앞으로 5년동안 현대차그룹에서 발표할 차량들의 수준과 다양함이 상상 이상일 듯 합니다
하이퍼카, 슈퍼카 같은 스포츠카 라인업부터
초호화 수제 럭셔리카, 기함급 풀사이즈 SUV, 컨버터블 쿠페 같은 럭셔리 라인업
한층 업그레이드된 대중차 및 고성능차 라인업
캠핑카, 캠핑 트레일러 레저용 라인업
트럭, 버스, 특장차 등 상용차 라인업 등
하이브리드부터 EV, 수소연료전지로
고효율과 고성능을 동시에 추구하면서
매우 다양한 고품질의 상품을 개발하게 된다면
10년 전만 하더라도 생각하기 어려웠던 그림을 진짜로 마주하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