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학생인데요 제 친구 좀 도와주세요
본문
제 절친이 가정폭력에 당하고 있는거 같아서 글 남겨봐요
항상 밝고 잘 웃던 친구가 유독 가족이라는 단어에만 민감해지더라구요..
특히 아빠라는 단어에 더욱 더요
아빠라는 단어를 꺼내면 갑자기 말이 없어지면서 아무 이야기도 안해요 친구가 아파서 학교에 안나온 날은 톡으로 저에게 이런 이야기를 꺼내더라구요
아빠한테 혼났어
다음날 친구를 보면 친구의 몸엔 멍들이 잔뜩 있어요 무슨 일이냐 물으면 그냥 혼났어 걱정마 라고만 이야기해요
어떻게 걱정이 안돼겠어요... 친구가 그저 자기 자신 부모님이 조금 엄격해서 그런거라며 자기가 나쁜 아이라 그런거라고 하는데 이야기도 잘 들어주고 착한 친구거든요..
제가 도와주고 싶어도 친구가 하지말라며 혼난다고 무섭대요
도와주세요
관련자료
댓글 17
우리고을님의 댓글
가정폭력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 확보입니다. 현재 상황이 위급하다면 즉시 112에 신고하여 경찰의 도움을 받는 것이 우선입니다. 신고 후에는 안전한 곳으로 피신하고, 필요하다면 119에 연락하여 의료 지원을 받는 것도 중요합니다.
가정폭력 발생 시 대처 방법:
폭력 상황 시:
가능하다면 안전한 장소로 피하세요.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거나 112에 신고하세요.
위급한 상황이라면 소리를 지르거나 방어하는 행동을 할 수도 있습니다.
미리 비상 연락망(친척, 친구, 상담소 등)을 확보하고, 위급 시 연락할 수 있도록 준비해 두세요.
폭력 이후: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면 즉시 병원이나 상담소를 찾아 치료와 상담을 받으세요.
증거(사진, 동영상, 녹음 등)를 확보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가정폭력 상담소나 보호시설에 연락하여 도움을 요청하세요.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
여성긴급전화 1366: 24시간 운영되며, 전화 상담, 긴급 보호, 법률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청소년 상담전화 1388: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24시간 전화, 문자, 사이버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정폭력 상담소: 전국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문 상담과 함께 보호시설 연계, 법률 지원 등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여성인권진흥원 홈페이지(https://www.stop.or.kr/)에서 가까운 상담소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해바라기센터: 성폭력, 가정폭력, 성매매 피해자를 위한 상담, 의료, 법률 지원을 One-Stop으로 제공합니다.
학교 상담 선생님: 학교 선생님이나 상담 선생님께 현재 상황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복지지원센터: 위기 상황에 놓인 청소년에게 상담, 보호, 교육, 자립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여성가족부 홈페이지(https://www.mogef.go.kr/)에서 지역별 센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
혼자가 아닙니다. 주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곳이 많습니다.
잘못이 아닙니다. 가정폭력은 명백한 범죄 행위이며, 피해자인 학생에게는 잘못이 없습니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세요.
가정폭력 발생 시 대처 방법:
폭력 상황 시:
가능하다면 안전한 장소로 피하세요.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거나 112에 신고하세요.
위급한 상황이라면 소리를 지르거나 방어하는 행동을 할 수도 있습니다.
미리 비상 연락망(친척, 친구, 상담소 등)을 확보하고, 위급 시 연락할 수 있도록 준비해 두세요.
폭력 이후: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면 즉시 병원이나 상담소를 찾아 치료와 상담을 받으세요.
증거(사진, 동영상, 녹음 등)를 확보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가정폭력 상담소나 보호시설에 연락하여 도움을 요청하세요.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
여성긴급전화 1366: 24시간 운영되며, 전화 상담, 긴급 보호, 법률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청소년 상담전화 1388: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24시간 전화, 문자, 사이버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정폭력 상담소: 전국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문 상담과 함께 보호시설 연계, 법률 지원 등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여성인권진흥원 홈페이지(https://www.stop.or.kr/)에서 가까운 상담소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해바라기센터: 성폭력, 가정폭력, 성매매 피해자를 위한 상담, 의료, 법률 지원을 One-Stop으로 제공합니다.
학교 상담 선생님: 학교 선생님이나 상담 선생님께 현재 상황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복지지원센터: 위기 상황에 놓인 청소년에게 상담, 보호, 교육, 자립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여성가족부 홈페이지(https://www.mogef.go.kr/)에서 지역별 센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
혼자가 아닙니다. 주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곳이 많습니다.
잘못이 아닙니다. 가정폭력은 명백한 범죄 행위이며, 피해자인 학생에게는 잘못이 없습니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세요.